1차 산업(농업)과 데이터와의 필연적 만남!
IoT 기반의 농업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통한 정밀 스마트 농업 구현
IoT는 농부가 작물을 모니터링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큰 기회이고, 인공위성, 드론, 무선 센서 네트워크, 분석 농업 장치 시스템, 농장 관리 시스템, 농장 및 식품 관리 체인에 적용되는 빅 데이터는 모두 IoT 및 스마트 농업의 한 예이다.
세계 인구는 2050 년까지 90억을 넘어서 현재 인구의 1/3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
이러한 빠른 인구 증가세로 인해 추가 생산이 되어야 할 식량자원은 현 상황 대비 70 % 증가가 요구됩니다.
이 증가세는 결국 한정적인 토지, 물 및 기타 천연자원의 고갈로 인해 생산의 한계에 다다를 수 있고, 이에 향후 식량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정밀하고 진화적인 농업 패러다임이 필요함은 누구든 공감하고 있을 것입니다.
금번에는 이런 필수 불가결한 문제 해결의 초석인 농업환경센서킷(IoT)과 농업 데이터의
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- 사물인터넷(IoT)으로 농업 환경데이터 수집
사물 인터넷(IoT)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교환할 수 있는 인터넷 네트워크 연결의 물리적 장치입니다.
IoT는 농부들이 작물을 모니터링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기본적인 데이터 수집 시스템이고, 인공위성, 드론, 무선 센서 네트워크, 분석 농업 장치 시스템, 농장 관리 시스템, 농장 및 식품 관리 체인에 적용되는 빅 데이터는 모두 스마트 농업에 해당하는 한 부분입니다.
(1 : G-camp IoT : 농업환경 센싱킷)
위의 센싱킷(IoT)은 노지 환경과 수경 환경 구분 없이 농업환경을 센싱 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.
우선, 작물 생산성에 큰 영향을 주는 환경요소들로 센서를 구성하여 실시간 농장 환경 데이터를 수집합니다. 모듈화된 로거함 단자는 작물별 및 재배방식별 필요한 환경 센서로 변환하여 농장별 맞춤 센싱이 가능합니다.
2. 수집된 데이터로 모니터링 대시보드 구현
위의 IoT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은 대시보드를 구성합니다.
(2 : G-camp 플랫폼 : 온도,습도 관리현황)
위의 대시보드와 같이, 작물별 최적 대기 환경과 근권 환경을 설정해 놓은 후, 설정값 초과 시 농장주는 핸드폰을 통해 alert 문자를 수신하게 되고, 경보 문자와 해결방안을 수신한 농장주는 그에 따라 대응 행동을 하게 됩니다.
그동안 본인의 느낌과 관행으로만 진행해왔던 농업에서 정밀농업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시점인 것입니다.
(3 : G-camp 플랫폼 : App. 및 Dashboard)
위 대시보드는 IoT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적 재배환경 분석기술을 통해 구현되는 서비스입니다.
위 대시보드를 통해 농장주는 본인의 핸드폰에서 농장의 모든 상황을 실시간 체크할 수 있습니다.
온도, 습도 이외에 병해충 징후와 냉해, 고온 해 등 미리 대처 가능한 정보들을 수신하여
병해충 확산을 미연에 방지하고 각종 상황에 따른 예측 대응을 할 수 있습니다.
이렇듯, 농장주는 설정된 최적 생육 환경과 각종 외적인 환경요소에 선제적 대응으로 인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3. 수집된 데이터를 통한 분석형 유통전략 구현
농장주는 이제 어떻게 팔지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면서, 지난해처럼 산지유통센터(APC)에 판매하기보다는 좀 더 높은 금액에 판매를 하려는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.
( 4 : G-camp 플랫폼 : 유통가격 예측 Dashboard)
농장주는 작물의 올해 총 생산량 예측을 토대로 분석된 향후 유통 가격 예측을 통하여 수확 시기, 판매금액, 판매 공판장, 직거래 판매 여부 등을 결정하고 이익 실현을 하게 됩니다.
굳이 산지유통센터에만 의존할 필요가 없게 된 것입니다.
이렇듯, 농장주는 IoT로부터 수집, 분석된 데이터를 통하여 생산성을 증대 시키고, 객관적인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.
이러한 농업환경 데이터가 축적이 되면 될수록, 데이터 분석을 통해 농업환경에 연관된 좀 더 정밀한 생산성 지표를 산출할 수 있게 됩니다.
결국 산출된 데이터에 기반한 정밀 농업은 창업농이나 귀농인에게 농업의 진입장벽을 크게 낮춰 줄 수 있는 효과를 주면서 생산성에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게 됩니다.
거시적으로는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인 식량 부족에 대한 궁극적인 해결점을 찾을 수 있는 것입니다.
농업 빅데이터의 활용도는 무궁무진합니다.
빠르게 변해가는 세상에 발맞추어 1차 산업과 빅데이터와의 만남은 당연한 조합이 아닐 수 없고, 이를 적극 활용하려는 자세와 마음가짐이 변화의 시작입니다.
Let Data be useful for the SmartFarm!
#The30F(http://www.the30f.com/)
#GCamp(http://g-camp.co.kr)
Leave A Comment
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.